조정대상지역 발표가 나오면서
부동산에 관심 있는 분들이 여러 가지
말들이 많아지고 있습니다.
특히, 이번에는 대규모로
조정대상지역 지정됨으로
앞으로의 청약이나 투자 관점에서
부동산을 바라보고 계신 분들께서는
전략을 다시 한번 검토해야 할
필요성이 있습니다.
주목해야 할 부분은 창원 의창
같은 경우 투기과열지구로 지정
되면서 앞으로 어떻게 해야 할지
한번 고민해보셔야 할 것 같습니다.
그리고 조정대상지역 해제된 곳도
있으니 한번 참고해보세요!
이번 조정대상지역을 보면 대부분
광역시들 구 단위에서 조정대상지역
많이 나온 것을 볼 수 있습니다.
특히, 부산은 9곳이 지정되었는데
서구, 동구, 영도, 부산진, 금정구, 북구,
강서구, 사상구, 사하구까지 조정대상지역
선정되면서 부산에 계신 분들도
아파트 청약, 투자 관련되어
고민이 깊어질 것으로 보입니다.
이 밖에 대구 또한 중구, 동구,
서구, 남구, 북구, 달서구, 달성군
조정대상지역 선정되면서 뜨겁게
타오르던 대구, 부산 부동산 열기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한번 지켜봐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특히, 대구, 부산 같은 경우
신규 분양할 곳들도 있기 때문에
앞으로의 방향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울산 또한 중구와 남구
조정대상 지역 선정되고
지난번 발표에서는 김포가
조정대상지역 들어가서 상대적으로
파주, 운정 이 쪽이 주목을 받았는데
이번에는 파주 또한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되었습니다.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선정되면
어떤 부분을 참고해야 하는지 포스팅
하단에 있으니 참고하세요!
요즘, 창원 집 값도 굉장히 뜨겁게
타올랐습니다. 창원 의창구 같은 경우도
이번에 투기과열지구 신규지정이
되었다는 점 또한 참고하셔야 합니다.
빨간색 네모 칸으로 되어 있는 그림을
보면 주요 과열지역 매수자 특성 변화에서
이미 주택 보유자들의 매수 비율이 높아지고
있는 모습과 함께 타 지역 외지인 사람들이
매수하는 비율은 계속해서 올라가고
있습니다.
즉, 투자형 목적으로 아파트 구매를
하려고 하는 모습이고 조정대상지역
아닌 곳을 피해 찾으려는 모습입니다
이에 실제 거주를 목표로 청약이나
분양을 받으려고 하는 사람들 같은 경우
참 난감한 상황이 오게 됩니다.
위 그림을 보면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설명을 한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조정대상지역의 경우
3개월 주택가 격상 승률이
물가상승률의 1.3배를 초과하며
여러 가지 정량적 조건에 해당되면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됩니다.
투기과열지구 같은 경우 창원이
신규 지정되었는데 특히 성산구,
의창구에서 가격 상승률이 뚜렷하게
높아지고 있고 외지인들의 매수 비중
계속해서 높아지고 있는 만큼
시장관리 강화를 위해 투기과열지구
선정된 것으로 보입니다.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지정에
따른 효과는 위와 같다고 합니다.
조정대상지역 같은 경우
세제 강화, 금융규제 강화, 청약규제
강화 등이 적용되는 모습이고
투기과열지구 같은 경우 정비사업
규제 강화, 금융규제 강화, 청약규제
강화가 있습니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부분은
LTV 9억 이하 50%, 초과 30% 적용
된다는 부분입니다.
이번제 조정대상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지정된 곳들입니다. 대구 같은 경우
달성군 일부 지역을 제외하고 전 지역
조정대상지역으로 선정된 모습!
부산 또한 기장군 중구 제외하고
전 지역 조정대상지역 선정!
이 밖에 충남, 전북, 경북, 전남에도
조정대상지역이 다수 선정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위 사진은 현재 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 전체가 나와있는 모습
입니다.
위 그림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또 이제는 조정대상지역이 아닌 곳을
찾고자 하는 분들이 많이 늘어날 것이고
앞으로 부동산 투자 방향 또한 조금
흐름이 바뀌지 않을까 생각이 되네요!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금융, 세제 정비사업, 전매제한 및
기타 관련된 내용에서의 꼭 체크해야
할 부분입니다. 특히 대출이나 세제
부분만큼은 꼭 참고하시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따른 종합부동산세 또한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종합부동산세 과세대상 및 계산방법 필독!
종합부동산세 고지되었습니다. 특히, 부동산 이슈가 많았던 한 해로 정말 계속 나오는 부동산 정책 때문에 많은 분들이 어려워하는 모습을 자주 찾아볼 수 있었습니다. 특히 다주택자 분들께서
overcome-good.tistory.com